티스토리 뷰

반응형

자동차관리법 개정으로 더 간편해진 자동차 검사 예약과 온라인 재검사 제도를 소개합니다. 자동차 검사의 필요성과 새로운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자동차는 우리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교통수단입니다.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자동차 검사가 최근 개정된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을 통해 더욱 편리하고 스마트해졌습니다. 이제 더 이상 장시간 대기하거나 복잡한 예약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검사의 필요성과 혁신된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자동차 검사
예약 및 온라인
재검사

 

 

목차

 

    1. 자동차 검사의 필요성

    자동차 검사는 우리의 안전과 환경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차량의 안전 상태를 확인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배출가스 및 소음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합니다. 또한, 책임보험 가입 여부와 불법 튜닝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와 타 이용자들을 보호하는 역할도 합니다.

    2. 자동차 검사 유효기간 연장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23.11.20. 시행)

    차령이 4년 이하인 경형·소형 승합자동차와 경형·소형 비사업용 화물자동차의 자동차검사 유효기간이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되었습니다. 또한, 비사업용 대형 승합자동차의 검사 유효기간은 기존 1년에서 6개월로 단축되는 시기가 차령이 5년을 초과할 때에서 차령이 8년을 초과할 때로 연장되었습니다.

    자동차-검사-유효기간-연장

    3. 온라인 재검사 실시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23.11.26. 시행)

    자동차 검사에서 사진만으로 적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이제는 온라인으로 재검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일부 항목에 한정된 서비스입니다.

     

    온라인-재검사-실시

    3.1 온라인 재검사 신청가능 항목

    1. 등록번호판의 망실
    2. 등록번호판 또는 봉인의 훼손
    3. 전조등·방향지시등·번호등·후미등 및 제동등의 점등 상태 불량
    4. 등색과 설치 상태의 기준 부적합
    5. 택시표시등의 자동 점등 상태 불량

    3.2 온라인 재검사 신청방법

    1. 모바일 또는 PC에서 사이버 검사소 홈페이지 접속
    2. 온라인 재검사 신청 클릭
    3. 신청인 정보 입력 (약관동의 및 검사차량 조회)
    4. 차량 사진 첨부
    5. 온라인 재검사 신청 완료

    온라인-재검사-신청방법
    온라인-재검사-신청방법
    온라인-재검사-신청방법

    4. 자동차검사 예약 검사

    2020년 1월부터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는 공단 자동차검사소에서 예약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차주들은 예약을 통해 편리하게 자동차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4.1 예약하기 쉬운 사이버검사소 홈페이지

    1. 홈페이지 방문: 한국교통안전공단 사이버검사소 홈페이지에 방문하세요.
    2. 선택: 원하는 날짜와 방문 시간을 선택한 후 예약을 진행하세요.
    3. 방문 및 검사: 예약한 시간대에 검사소를 방문하면 즉시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약된 일정은 언제든지 변경하거나 취소할 수 있습니다.
    4.  

    자동차검사-예약-검사
    자동차검사-예약-검사
    자동차검사-예약-검사

    4.2 예약과 결제 한 번에 해결

    1. 간편(스마트) 결제: 신용카드를 통한 간편 결제가 가능합니다.
    2. 일반 결제: 신용카드 일반 결제도 가능합니다.
    3. 무통장입금: 가상계좌를 통한 무통장입금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3 자동차 검사 예약 시스템 이용 시 장점

    자동차 검사 예약 시스템의 도입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대기시간의 감소뿐만 아니라, 차량의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효과까지 가져옵니다.

     

    5. 마치는 글

    이번 자동차 검사의 혁신은 운전자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예약 시스템과 온라인 재검사의 도입으로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주며,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기술의 발전으로 더 나은 운전 생활이 기대됩니다.

    [자료출처: 한국교통안전공단]

    반응형